산업용 섬유와 섬유 복합 재료 제조, 가공 첨단 소재 전문 기업
![](../../images/content/img_fire03.jpg)
Fire Curtain
- 건물, 제조 장치, 보관상태에 맞는 맞춤형 설계
- 맞춤형 소재
- 기존 소방설비와 연동
특징
건물, 설비, 자동차(원동기) 등의 화재 시 초기 화재를 진압하거나 확산을 방지하여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불연 방화포와 질식포입니다.
![](../../images/content/img_fire0301.jpg)
EV(전기자동차),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장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배터리 열폭주 화재 위험도 일상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EV)에서 발생한 배터리 화재는 단일 소화법만으로 완전한 화재 진압이 어려워 단계적이고, 복합적인 사용이 필수입니다.
수에코에서는 기능은 최대화하고, 위험은 최소화할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전기 자동차 화재용 질식 소화포와 리듐 배터리 화재용 방화포 솔루션을 갖추었습니다. 또한 리듐 배터리 구성인 셀(Cell), 모듈(Module), 팩(Pack)에 적합한 구조용 소재를 공급하고, 시설 또는 설비에 필요한 고기능성 불연 및 단열소재를 고객사 맞춤으로 컨설팅해 드립니다.
사용소재
- 무코팅 · 저코팅 유리섬유 실리카 원단 부드럽고 유연해 화재 질식 대상물에 감싸지듯 덮입니다. 무코팅 · 저코팅 실리카 원단의 장점은 이런 유연성 때문에 질식 소화포의 산소 차단력을 매우 높여주며, 물리적 손상이 없는 한 재 사용률도 높습니다. 그러나 가공이 어렵고, 사용 시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 될 수 있습니다.
- 실리콘 코팅 유리섬유 실리카 직물 생지 원단에 비해 유연성과 산소 차단력은 낮을 수 있지만 제작, 보관, 사용 시 원단의 내구성이 매우 높아 다회 차 사용에 용이합니다. 그리고 화재 노출 시 코팅된 실리콘은 경화될 수 있으나 불연성은 유지하여 불막이 역할을 합니다.
- 친환경 난연 수지 코팅 실리카 원단 하드코팅 타입으로 형상 유지가 필요한 방화벽, 롤스크린으로 사용합니다. 화재 노출 시 코팅된 수지가 탄화되어 유연한 생지 원단이 됩니다. [국토교통부 시험 성적서]
- 재봉사 PTFE coated Glass 재봉사, 금속 재봉사
- Bar, Button, Hook Clip Steel, Stainless steel
방화 성능 및
내열 성능
1) 1,300℃ 토치 30분 TEST
2) 1,000℃ 챔버 1시간 TEST와 이후 내구성
3) 재봉사 TEST
-
1,000℃챔버 가열
-
테스트 전. 시료-‘T(좌)’, 시료‘S(우)
-
테스트 후. 시료‘T(좌)’: 완전연소 됨, 시료‘S(우)’: 재봉사 심지 有. 박음질 형태 유지
방화포, 방화커튼, 방화셔터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확산 방지와 대피를 위해 설치, 사용되는 화재 차단막입니다.
- 소재 Glass fabric, Silica fabric, Silicone coated glass/silica fabric, PU coated glass/Silica fabric
- 크기 주문 제작형(10미터 이상 초대형 제작 가능)
- 제작 사례 랙 거치형 방화포(랙에 거치하기 좋도록 상단부에 거치 고리가 부착되어있습니다.)
-
배터리 화재 방화포 규격
-
배터리 화재 방화포 설치 방법
질식 소화포
설비, 부품, 자동차(EV), 배터리 등 화재 대상물을 덮어 공기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확산을 방지 지연하는 원단입니다.
- 소재 Flexible polymer coated silica fabric, Glass/Silica fabric
- 크기 주문형 제작
- 제작 사례 표준형 배터리 팩(Pack)용 질식 소화포
-
배터리 화재 질식 소화포 규격
-
배터리 화재 질식포 사용 방법 | EV용, 배터리 팩용
휴대 및 보관함
설치, 휴대 방법에 따라 가방, 설치함 등 주문형으로 설계 제작
![](../../images/content/img_fire030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