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섬유와 섬유 복합 재료 제조, 가공 첨단 소재 전문 기업

영하 150℃이하 극저온 (초저온 ) 환경에서는 폴리머들의 운동성이 거의 없어져 유연성이 없는 브리틀 (작은 충격에 쉽게 깨지는 )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및 복합재료 등은 극지방 운송, 우주항공, 수소연료전지, 초정밀 기기의 확대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습니다.
수에코는 어떤 환경에서도 산업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소재 선정에서부터 완제품 가공까지 전 공정 서비스를 합니다.

주요 제품

1. 극저온환경
  • 에너지 : 천연가스(LNG)운송, 핵융합설비
  • 반도체 등 산업 : 산업가스, 진공증착, 이온주입 가속기, 스퍼터링, Cryopump
  • 의료기기 : MRI, X-ray detector
  • 우주 항공 : 발사체 액체연료 탱크, 우주의 환경 구조물
  • 운송 : 수소에너지, 자기부상열차
  • 정밀측정기 : NMR, SMES
  • 정보통신 : 초전도 케이블, 초전도 필터, 초전도 컴퓨팅(양자)
2. 극저온 환경에서 고분자소재의 대표적 문제
  • 씰 성능이 파괴되어 작업자의 동상, 질식, 설비의 폭발로 이어짐
  • 상대 금속재질과의 수축팽창 비의 차이로 인한 부품 성능 실패
3. 각종 액체들의 끓는 점(Boiling Point = 기체들의 액화온도)
각종 액체들의 끓는 점(Boiling Point = 기체들의 액화온도)
Fluid Boiling Point Expansion Ratio
LNG 천연가스 -162°C(-260°F) 111K 600 x
Argon 알곤 -186°C(-302.8°F) 87K 800 x
Helium 헬륨 -269°C(-452.2°F) 4K 780 x
Hydrogen 수소 -253°C(-423.4°F) 20K 865 x
Nitrogen 질소 -196°C(-320.8°F) 77K 710 x
Oxygen 산소 -183°C(-297.4°F) 90K -183°C(-297.4°F) 90K
4. 극저온에서 사용 가능한 소재
각종 액체들의 끓는 점(Boiling Point = 기체들의 액화온도)
종류 사용 온도(℃)
수지
polymers
PTFE -250~+260
PCTFE -269~+150
UHMW PE -260~+70
Polyimide -250~+250
Victrex CT200 ** -196~+200
적층판
Laminated composites
G10CR -270~+140
Phenolic cotton *** -210~
Durolight -196~+200
Lignostone cryogenic **** -196~+90

※ 위 사용 온도는 제조사 및 응용 제품에서 표기된 온도를 참고하였으나 보증된 수치는 아님, 참조하여 개별 적용 환경에서 검증 과정을 거처 적용되어야 함.

  • ** 표준 봉/판재(Rod/plate) 구매가 쉽지 않으나 PCTFE의 대체 품으로 개발, 불소수지 공급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
  • *** 면포 페놀 적층판
  • **** 적층 진공압착 목재 (laminated densified wood), 주재료: 너도밤나무(beech)
5. 참조 물성
Figure 9. Thermal Contraction of Various Materials as They are Cooled from Room Temperature to Cryogenic Temperatures
Figure 9. Thermal Contraction of Various Materials as They are Cooled from Room Temperature to Cryogenic Temperatures ※ Source: Mowers, R. (1969)
Figure 10. Thermal Expansion of PTFE and DuPontTM Vespel SP1 Polyimide
Figure 10. Thermal Expansion of PTFE and DuPontTM Vespel SP1 Polyimide ※ Source Kirby, R. (1966), and McDonald, P. & Rao, M. (1987)